종양이 현미경검사로 진단되지 않았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정확한 조직소견이 적혀있지 않고 malignant neoplasm, cancer, malignant tumor 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이때에는 8000/3 'Malignant neoplasm, NOS‘로 코딩하여야 한다.
표 3. 비현미경적 방법으로 진단시 인정되는 조직학적 소견
비현미경적 방법으로 진단하였을 경우도 일부 조직학적 소견을 인정하며 8000/3이 아닌 해당 조직학적 코드를 부여한다. (1999년 ENCR자료 근거)
번호 | Morphology | M code |
---|---|---|
1 | Neoplasm, NOS | 8000 |
2 | Islet cell tumors, gastrinomas | 8150-8154 |
3 | Hepatocarcinoma | 8170 |
4 | Pituitary tumors | 8270 - 8281 |
5 | Melanoma of the eye | 8720 (C69._) |
6 | Melanoma of skin | 8720 (C44._) |
7 | Sarcoma, NOS | 8800 |
8 | Nephroblastoma, NOS | 8960 |
9 | Mesothelioma, NOS | 9050 |
10 | Choriocarcinoma, NOS | 9100 |
11 | Kaposi's sarcoma | 9140 |
12 | Craniopharyngioma | 9350 |
13 | Glioma | 9380 |
14 | Subependymal giant cell astrocytoma | 9384 |
15 | Neuroblastoma | 9500 |
16 | Retinoblastoma | 9510 |
17 | Meningioma | 9530-9539 |
18 | Lymphoma, NOS | 9590 |
19 | Multiple myeloma | 9732 |
20 |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 9761 |
21 | Leukemia, NOS | 9800 |
22 | Cholangiocarcinoma Bile duct cystadenocarcinoma Klatskin tumor |
8160 8161 8162 (C22.1, C24.0, C24.8, C24.9) |
* 22번은 우리나라에서 추가적으로 인정. (IARC에 문의하여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확답 받음)
* 삭제 : Hodgkin's disease, NOS 9650 (2007년 변경사항)
- 뇌종양 등록시 변경사항 (2012년 시행)
- 종양의 발생부위 상 조직검사의 위험성이 높아 조직검사 없이 MRI 등으로 진단 후 치료하는 경우가 많음. 이 경우를 8000/3 으로 등록 시 정확한 뇌종양의 발생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영상의학검사등의 비현미경적 방법으로 확인된 경우라도 구체적인 형태학적 진단 코드(M코드)를 등록함.2009년 뇌종양등록위원회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