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병기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병기 시스템들 간의 목적과 의도가 서로 상이하여 통합하기 쉽지 않아 협력병기(Collaborative Stage) 분류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 이에
- the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AJCC)
-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Surveillance
-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Program(NCI-SEER)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Program of Cancer Registires(CDC/NPCR)
- National Cancer Registrars Association(NCRA)
- North American Association of Central Cancer Registries(NAACCR)
- American College of Surgeons Commission on Cancer(CoC)
- Canadian Cancer Society/National Cancer Instritute of Canada(CCS-NCIC)
- 들의 협력하에 협력병기(Collaborative Stage)를 만들었다.
2012년부터 Collaborative Staging Manual and Coding Instructions Version 02.03을 사용하고 있다.
협력병기(Collaborative Stage)의 필요성
- 현재 사용 병기 시스템의 목적과 의도가 서로 상이하여 통합된 병기분류 시스템 필요
- 병기 시스템 사이의 모순과 불일치 해결
- 자료 수집의 추가 비용과 노동력 감소
- AJCC Cancer Staging Manual,6th , AJCC, 7th, SEER summary stage 로 변환 가능
수집변수
ITEM | Description |
---|---|
CS Tumor Size | 종양의 크기 (구체적 크기 명시) |
CS Extension | 종양이 퍼진 정도 |
CS TS/Ext Eval | CS 크기와 퍼진 정도의 확정 방법 |
CS Lymph nodes | 국소림프절 침범 (침범된 종류, 범위) |
CS Reg Nodes Eval | 국소 림프절 진단 관련 사항의 확정 방법 |
Regional Nodes Positive | 양성반응 결과 나온 국소림프절 개수 |
Regional Nodes Exam | 총 검사한 국소림프절 개수 |
CS Mets at Dx | 원격전이 |
CS Mets Eval | 원격전이 진단 확정 방법 |
CS Site-spec Factors 1-25 | 암종별로 specific 한 정보 수집 항목 |
부위특이요인들(Site-Specific Factors, SSFs)
- AJCC 7th edition 에 기초
- 일부는 TNM mapping 을 하는데 필요
Number of positive axillary nodes, extracapsular extension; thickness of melanoma - Tumor markers 와 lab 수치
CEA, CA 125, CA 19-9, HCG, KRAS, Ki-67 - 예후 관련 정보
Gleason tertiary pattern; IPI, FLIP, IPS (lymphomas) - 연구목적
Microsatellite instability (GI cancers)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s; Merkel cell) - 다른 질환의 병력
Sjogren’s syndrome (ocular lymphoma), asbestos 노출
(pleural mesothelioma), retinoblastoma gene mu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