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암종별이해

  • 위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 대장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 유방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 폐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 간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치료

폐암의 치료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home > 암종별이해 > 폐암 > 치료

치료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면역요법

호르몬요법

화학 치료

소세포폐암의 경우는 항암화학요법이 주된 치료 원칙이며 제한성 병기에서는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다.
비소세포폐암의 경우는 3기 이후에 항암화학요법을 2기 또는 일부의 1기 폐암 환자에게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해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비소세포폐암에 사용되는 항암제
시스플라틴(Cisplatin), 비노렐빈(Vinorelbine), 탁솔(Taxol), 탁소터(Taxotere), 젬시타빈(Gemcitabine), 알림타(Alimta)
소세포 폐암에 사용되는 항암제
에토포사이드(Etoposide),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빈크리스틴(Vincristine), 싸이톡산(Cyclophosphamide), 아이포스파마이드(Ifosphamide)
표적치료제
기존의 항암제들이 모두 세포독성제제인 것에 비해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표적치료제들은 표피성장인자수용체(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을 억제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멈추게 하는 약물로 타세바(TARCEVA)와 이레사(IRESSA)가 있다. 주로 비흡연자, 여성, 선암 환자에게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표피성장인자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경우에는 매우 효과적이며, 대부분 부작용이 경미하거나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다. 최근에 이레사는 선암이면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에 1차 약제로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