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암종별이해

  • 위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 대장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 유방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 폐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 간암
    • 위험요인
    • 해부학
    • 형태학
    • 진단
    • 치료
    • 협력병기(CS)

해부학

유방암의 해부학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home > 암종별이해 > 유방암 > 해부학

부위코드

해부학적 구조

국소림프절

전위부위

유방의 림프계는 크게 3개로 나뉜다. Axillary(겨드랑이), Transpectoral(가슴횡단), 그리고 Internal mammary(속가슴)이다. Intramammary(유방내) 림프절은 유방 조직내에 존재하고 병기설정 목적으로는 겨드랑이 림프절로 지정된다. Supraclavicular(쇄골상) 림프절은 병기설정 목적에서 국소림프절로 분류된다.

Axillary(ipsilateral)

가슴근사이(Rotter’s) 림프절과 겨드랑이 정맥 및 그 세부 지류를 따라 아래와 같이 나뉜다.

  1. a. Level I (low-axilla)

    작은 가슴근의 가장자리 경계면에 위치한 림프절

  2. b. Level II (mid-axilla)
    • 작은 가슴근의 가장자리와 안쪽 사이에 위치한 림프절
    • Interpectoral(Rotter’s) lymph node 라고도 불림
  3. c. Level III (apical axilla)
    • 작은 가슴근의 안쪽 경계의 안쪽과 쇄골 아래에 위치한 림프절.
    • apical 또는 infraclavicular nodes 라고도 불림
    • 이들 림프절로의 전이는 나쁜 예후를 예측한다.
Internal mammary(ipsilateral)

가슴속근막의 흉골을 따라 갈비사이 공간에 위치한 림프절

Supraclavicular
  • 쇄골상 오목에 위치한 림프절
  • (참고) 쇄골상 오목- 어깨목뿔근과 인대(가장자리와 위쪽 경계), 속목정맥(안쪽 경계), 쇄골과 쇄골하 정맥(아래쪽 경계) 들로
             만들어진 삼각형 모양으로 음푹 패인 곳

유방의 국소림프절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Level I axillary lymph node는 작은 가슴근의 가장자리 경계면에 위치한 림프절이고, Level II는 작은 가슴근의 가장자리와 안쪽 사이에 위치한 림프절로  Interpectoral(Rotter’ s) lymph node 라고도 불립니다. Level III는 작은 가슴근의 안쪽 경계의 안쪽과 쇄골 아래에 위치한 림프절로 apical 또는 infraclavicular nodes 라고도 불립니다.  Internal mammary lymph node는 가슴속근막의 흉골을 따라 갈비사이 공간에 위치한 림프절이고 Supraclavicular lymph node는 쇄골상 오목에 위치한 림프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