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암등록이해

  • 암등록이란
  • 암등록역사
  • 암등록사업
    • 암등록종류
    • 국가암등록사업
  • 국제종양분류
    • 역사적 배경
    • ICD-10과 비교
    • ICD-O-3
  • 암등록대상
    • 대상 및 원칙
    • 자료원
  • 항목별지침
    • 초진일
    • 진단경로
    • 원발부위
    • 편측성
    • 조직학적진단명
    • 분화도
    • 진단방법
    • 치료
    • 전위부위

진단방법

암등록지침 중 진단방법 항목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home > 암등록이해 > 항목별지침 > 진단방법

코딩규칙

세부코드

암진단을 위해 사용된 진단방법을 <표 1>의 분류에서 선택한다.(세부코드 참조) 최종 진단방법이 비현미경적 방법인가, 현미경적 방법인가 하는 것은 암등록자료의 질을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코드 1번에서 4번까지는 비현미경적 방법의 분류이며 5번에서 8번까지는 현미경적 방법분류이다. 한 환자에게 여러 가지 진단방법이 사용되었을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 최종진단방법은 시행된 진단방법 중 아래의 기준으로 선택한다.

최종진단방법 결정 적용규칙
  1. 현미경적 검사(코드 5~8)결과가 비현미경적 검사(코드 1~4) 결과보다 우선권을 가진다.
  2. 비현미경적 검사(코드 1~4)만이 중복되어 시행되었을 때 ‘positive소견’ 이 나온 검사 중 가장 높은 번호를 준다.
  3. 현미경적 검사(코드 5~8)가 중복되어 시행되었을 때는 ‘positive소견’ 이 나온 검사 중 가장 높은 번호를 준다.
  4. 비현미경적 검사(코드 1~4)에서는 positive이나 현미경적 검사(코드 5~8)에서 ‘negative소견’일 때는 ①의 규칙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등록대상이 아니나 Biopsy가 잘못 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주치의와 상의하여 사례별로 코딩한다. 의사의 최종 진단이 악성종양으로 간주되면 비현미경적 검사에서 ‘positive소견’으로 나온 것 중 가장 높은 번호를 준다.